게임을 움직이는 기술과 발상

그러나 작은 메로리로도 열심히 작업하면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명일 것입니다. 1 이 책은 게임을 만드는데 필요한 각 종 소프트웨어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기술을 소개한다고 하면 딱딱하고 간략한 개론서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책의 절반에 가까운 부분은...
더 읽기

괴델, 에셔, 바흐 - 영원한 황금 노끈

그렇다면 이제 N의 ‘핵심진리들”이란 무엇인가? 그것들은 원초 재귀적 진리들이다. 즉, 그것들이 예측 가능한 종료되는 계산들만을 포함한다는 뜻이다. 1 전혀 관계 없어 보이는 3가지 주제를 아주 ‘끈적’하고 ‘단단’하게 엮어낸 작품이다. 옛 선인들이 보여준 지식의 폭넓음을 경험할 수 있으며 동시에 어떤 주제를...
더 읽기

내 맘대로 위클리 뉴스 2016년 30주

Python How I built a Slack bot to help me find an apartment in San Francisco 샌 프란시스코에서 아파트를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슬랙 봇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음 ‘Scraping’하는 방법과 ‘Filter’를 적용하는 부분같이 세세한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더 읽기

Flask 기반의 파이썬 웹 프로그래밍

1 Flask 문법 및 기능에 관한 국내에서 가장 ‘자세한’ 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뒷부분엔 Flask를 응용해서 다룰 수 있는 기술들이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Flask를 ‘라이트’하게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아주 훌륭한 레퍼런스가 될 듯 싶다. 2 반면에 예제가 snippet 형태로 구성되어...
더 읽기

프로 리액트

리액트는 자바스크립트와 (필요에 따라) XML을 이용해 조합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엔진이다. 1 Firebase 때문에 ‘리액트’를 공부하게 되었다. 웹 개발자가 아니라 그런지 ‘JS 프레임워크’가 굉장히 어렵게 다가왔다. JS 코드를 잘 다루지 못하고, 기본적인 HTML만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아쉽게도 빠르게 내용을...
더 읽기

사물인터넷을 품은 라즈베리 파이

1 라즈베리 파이 스터디를 하면서 CH6, CH11, CH12, CH13을 많이 참고하였다. 특히 GPIO와 MQTT 부분은 도움이 되었다. 2 라즈베리 파이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꺼라고 생각하고, 혹시 라즈베리 파이를 구매하신 후에 뭔가 하고 싶은 분들은 ‘Make 잡지’등을 둘러보시면 많은...
더 읽기

내 맘대로 위클리 뉴스 2016년 29주

Python Creating a Beer Recommendation Engine “맥주 추천 엔진 만들기”라니 제목부터 우리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있음 맥주 애호가의 ‘열정’과 개발자의 ‘덕’이 느껴지는 튜토리얼! Beer is one of my passions. I’m an award-winning homebrewer. I’ve judged beer competitions […] My goal...
더 읽기

가장 빨리 만나는 스프링 부트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해본 경험은 없어도 괜찮습니다. 1 국내에 출판되 유일한 ‘스프링 부트’ 관련 교재이다. 내가 별로 사용하지 않는 ‘maven’과 이젠 기억속의 먼 그대인 ‘STS’를 사용하고 있어서 환경설정 하는데 약간의 애를 먹었고, 룸북(lombook)을 사용하고 있어서 적절한 아픔을 느낄 수 있었다. 2...
더 읽기

ECMAScript 6 길들이기

1 Firebase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몇가지 자잘한 기술을 배워야 했다. 해당 기술(React)이 ‘ES6’기반이라 코드를 C-c/C-p를 붙여넣었기 코드에 대한 이해없이 기능 구현에 집중했다. 2 몇가지 이유 떄문에 ES6를 좀 배우고 싶었기 때문에 이 책을 빌려서 읽어보았다. 구매해서 읽은게 아니라 ‘가격대비 가치’는 잘...
더 읽기

내 맘대로 위클리 뉴스 2016년 28주

Python Teaching an AI to write Python code with Python code 파이썬 코드를 사용해서 AI가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는 튜토리얼 ‘tensor’, ‘theano.tensor’를 사용한 아주 간단한 ‘스크립트’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소스코드도 함께 참고해 볼 것 Mobile Phone Data Reveals...
더 읽기

세상의 모든 공식

웰스에 따르면, 아름다운 수학공식의 조건은 단순함, 간결함, 중요성, 놀라움이다 1 이 책은 공책 한 줄도 채우지 못하는 기호를 가지고 인류를 전혀 다른 시공간으로 몰아 넣는 거짓말 같은 마법인 ‘수학 공식’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심지어 그 마법을 우린 배울 수 있고,...
더 읽기

내 맘대로 위클리 뉴스 2016년 27주

Python Building a data science portfolio: Machine learning project 데이터 분석가를 꿈꾸는 이들을 위한 ‘포토폴리오’ 작성 가이드라인! 훌륭한 How-To 문서이기 때문에 나처럼 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꼭 읽어보시길 권해드림! The dynamic forces shaping AI 데이터, 컴퓨터 자원, 알고리즘, 재능이 어떻게...
더 읽기

메넥세노스(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5)

1 이 텍스트에 대한 진위여부를 뒤로 한다면, 플라톤의 ‘비아냥’을 들을 수 있다. 동시에 ‘민주주의’에 대한 다른 측면의 위험성을 같이 엿볼 수 있다. 2 우린 플라톤의 ‘비아냥’이 가볍지 않게 다가오는 이유는 ‘민주주의’에 대한 플라톤의 경고를 고민해야 한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기 때문일까?...
더 읽기

크라튈로스(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4)

1 “이름의 올바름에 관하여”라는 부제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언어의 ‘정의’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언어의 함몰에 대해서 소크라테스는 걱정하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단순히 ‘아는’것이 ‘이름(정의)’이 아니라 그 자체(혹은 사물)에 있다는 주장을 통해 피상적인 ‘앎’에 대한 작은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헤르모게네스...
더 읽기

에우튀데모스(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6)

1 2000년 전이나 지금이나 별반 다를바 없는 논변을 통해서 인류가 정말로 발전이란걸 하는건지 의심하게 된다. 2 플라톤이 던지는 질문에 나는 어떤 각주를 달아야 할까? ‘덕’에 대한 문제를 꼽을 수 있다. 소크라테스와 소프스테스는 모두 ‘덕이 가르쳐질 수 있는가’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