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악기의 배치가 곧 권력의 배치다. 1 이 책은 역사와 철학이 함께하는 ‘음악사’이다. 만약 대중음악이나 클래식을 좋아한다면 이책은 정말 강추하고 싶다. 단순한 음악이 아니라 문화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해보게 된다. 레스터 영은 간단히 거절한다. ‘그때는 그때고, 지금은 지금’이라고, ‘재즈 뮤지션은 끝없이...
더 읽기
Python What is hardcore data science—in practice? 주제에 충실한 글이니 읽어보시길 권하고, 나차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라면 그림을 잘 참조해서 회사의 시스템을 보완해 보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데이터 과학자 사이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아직도 진행 중 This requires more software engineering...
더 읽기
Python Battle of the Data Science Venn Diagrams Drew Conway가 작성한 ‘Data Science Venn Diagram.’을 시작으로 해서 데이터 과학자를 정의하는 각 종 벤 다이어그램을 소개하고 있음 13개의 벤 다이어 그램 중에서 약간 모자란 것 같지만 그래도 Conway의 벤 다이어그램이 좀...
더 읽기
Python Building a Team from the Inside Out: Alok Gupta on the Evolution of Data Science at Airbnb 급격한 성장(Hypergrowth)을 이룩한 AriBnB의 데이터사이언스팀에 관한 자세한 이야기 다양성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음 “Everything we do is very...
더 읽기
이 책을 읽는 데는 선형대수, 어느 정도의 확률과 통계 지식, 그리고 약간의 코딩 경험이 필요하다. 1 데이터 과학에 관한 거의 전 범위를 다루고 있다. 학술적인 내용보다 실제 사용하면서 고려해야 할 내용을 더 많이 담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과학에 처음 입문하시는...
더 읽기
프로그래머가 정신을 집중해서 양질의 코드를 만들어낼 수 있는 시간의 최대치는 하루에 2~3시간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1 가볍게 읽어보자. 그렇다고 마냥 가볍진 않지만, 정말로 가볍게 읽어보고 마음에 내용이 있다면 점심 먹으면서 동료와 함께 이야기 해보길 권한다. 이런저런 시간을 다 빼고 나면 손끝에서...
더 읽기
1 데이터 과학을 활용해서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본적인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예측 모델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하나의 주제를 계속해서 발전시키고 수정하는 형태로 내용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일관성 있게 학습 할 수 있다. 2 반면에 사례를...
더 읽기
Python How algorithms rule our working lives 알고리즘이나 빅데이터 시스템에 의해서 직장 혹은 구인 과정에서 배제(rule out)된 사례를 통해서 ‘알고리즘’이란 단어가 얼마나 ‘기계적’인지 다시 한번 실감하게 됨 좋은 의도로 만들어지고 사용되는 빅 데이터 기반의 알고리즘이 오용되거나 남용될 때 우린 어떤...
더 읽기
Python Why big data isn’t easy, cheap, or quick. 빅 데이터를 다루는 일이 왜 ‘쉽고, 저렴하고, 빠르게’ 안되는지에 대해서 논의하는 글 ‘Distributed systems’을 지배하는 자가 코드를 지배 할 것 같은 느낌 Distributed systems are hard, and 10x more complex. They’ll...
더 읽기
1 “자바스크립트 핵심가이드”가 정말 핵심을 다루고 있다면, 이 책은 그 핵심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에 대한 세부적인 속성에 대해서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2 무엇보다 좋은 점은 필수적인 핵심 요소에 대해서 ‘목록’형식으로 요약해주고 있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를 정리할 때 아주 훌륭하다. 3 MVC...
더 읽기
[…] 두 개의 스피커로 이 모든 것을 담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1 이 책을 읽으면서 2Pac 앨범을 들어볼까 하고, 언제가 부터 듣지 않았던 2pac의 앨범을 꺼내보려고 애를 썼지만, 본가에 테이프/시디를 다 두고와서 그런지 집에 그런게 있을리 만무했다. 당연스럽게도 멜론에는 그의 앨범...
더 읽기
1 국부론 혹은 «국부의 형성과 그 본질에 관한 연구(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로 유명한 스미스형의 책이다. 책 제목을 보고 “감정도 분업으로 설명하는 거야?”라는 단순한 생각으로 샀다가 책의 두께와 내용을 보고 후회가 막심했다. 2...
더 읽기
표현의 자유는 오류를 말할 수 있는 자유를 포함한다. 1 유시민씨의 정치적인 성향과 별개로 이렇게 어려운 주제를 자신의 생각을 녹여서 이토록 쉽게 쓸 수 있다는 점에서 감탄스럽다. 2 유시민씨의 책을 자주 구매해서 읽는 독자로서 책에 담겨진 날카롭고 냉정한 이야기가 너무 차갑게...
더 읽기
프로그래밍 언어는 개발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다 1 개인적인 이야기를 좀 하자면, 요즘에 ‘C#’ 관련 책을 자주 사서 보고 있다. 뭐 ‘C#’을 사용하겠다는 의지는 아니고 C#에 적용된 개념이나 문법 때문이다. C#에서 뭔가 적용되면 다음번 JDK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고, C#의 경우 다양한...
더 읽기
Python Generating fantasy maps 판타지 소설에 나오는 가상의 지도를 조금 더 현실적이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는 튜토리얼 Python 코드가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관심 있으신 분들에게 많은 재미를 줄 수 있을 듯 함 I Hire Engineers At Google—Here’s What I...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