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얼 퍼거슨의 시빌라이제이션

그때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서양 문명을 향해 다가오는 가장 큰 위협은 다른 문명이 아니다. 그것은 바로 우리 자신의 무기력함, 그리고 그것을 더욱 부추기는 역사적 무지다. 1 자신의 문명에 대한 자부심이 가득한 저자를 통햇 서양이 왜 우월한가를 들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더 읽기

모바일 서버 프로그래밍 입문

1 만약 여려분이 함수형 언어 중 하나인 ‘얼랭’을 배우기로 결심했다면 이 책을 구매하면 된다. 이 책은 작은 서버를 만들어가면서 얼랭이란 언어의 멋진 특징을 가볍게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 얼랭 입문자에게 강추한다.
더 읽기

천 개의 고원

1 다들 리좀에서 시작하는 듯 하지만, 나는 들뢰즈의 ‘천 개의 고원’을 지층으로 시작한 듯 싶다. 이질적인 개념을 미친듯이 쏟아내는 책이지만 가타리 혹은 들뢰즈의 주장에 귀를 기울여보면 나름 얻을 수 있는 뭔가가 있다. 2 나의 삶은 인간을 고객으로 ‘계열화’ 시키고, 고객을...
더 읽기

멘탈모델

[…] 그런 상황에서는, 정보구조 설계자나 다른 UX 담당자들이 결정을 내리는 데 더욱 큰 역할을 한다. 당장의 업무를 진행하려면 어떤 식으로든 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달리 방법이 없는 것이다. 1 만약 당신이 기획이나 전략 이런걸 구성해야 하는 직업이라면 이 책은 많은 도움을...
더 읽기

누구나 쉽게 스칼라 + 플레이

1 플레이 프레임워크 때문에 스칼라를 배우는 것은 루비 온 레일즈 때문에 루비를 배우는 것과 비슷한 심정일 것이다. 플레이 프레임워크의 경우 액터 모델을 기반으로 한 멋진 기능 때문에 많은 자바 개발자 분들의 지지를 얻은 듯 하지만 내 경우 스칼라 및 플레이...
더 읽기

시네마

1 베르그송모르면 안될 것 같은 책의 구성 때문에 힘겹게 읽은 결과, ‘읽었다’라는 과거형 이미지만 남기게 되었다. 차이와 반복이나 프로스트와 기호들을 먼저 읽었어야 했던건 아닐까 싶다. 2 옛날에 읽었던 시네21의 드립을 떠올릴수 있는 추억은 덤인가?
더 읽기

안티 오이디푸스

1 1960년대 프랑스를 분석하고 있다. 그들의 혹은 프랑스의 60년대는 어떤 의미가 있는걸까? 피상적으로 바라볼 수 밖에 없는 한국의 독자로서 들뢰즈와 가타리의 ‘자본주의분석’은 어색하고, 괴이롭다.
더 읽기

공허한 십자가

“사람을 죽이면 사형에 처한다 — 이 판단의 최대 장점은 그 범인은 이제 누구도 죽이지 못한다는 것이다.” 1 “그렇겠지요. 그리고 히루카와도 결국 진정한 의미의 반성에는 이르지 못했습니다. 사형 판결은 그를 바꾸지 못했지요.” 히라이는 약간 사시인 눈으로 나카하라를 빤히 쳐다보았다. “사형은 무력(無力)합니다.” 위의 문장...
더 읽기

내 맘대로 위클리 뉴스 2017년 16주

Python Checklist to Build Great Reusable Django Apps 재사용 가능한 유익한 Django App을 위한 체크리스트! 읽다 보면 7할이 문서화에 관련된 내용인 듯! Check if your app follows Unix philosophy: “Do one thing, and do it well” Have sane and smart...
더 읽기

내 맘대로 위클리 뉴스 2017년 15주

Python Configuring Django logging with Amazon CloudWatch using Watchtower Watchtower를 사용해서 Amazon CloudWatch에 loggin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기사 AWS에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면 고려해 볼만한 기사인 듯 함 ELK에 관심이 있다면 여기를 참고해보자! Creating a chat with Django Channels Django의 Channels을 사용해서...
더 읽기

내 맘대로 위클리 뉴스 2017년 14주

Python Hack The Virtual Memory: Python bytes 파이썬 3의 내부를 둘러보기 위해서 파이썬을 사용해서 가상 메모리를 해킹하는 과정을 소개하는 기사 Everything in Python is an object: integers, strings, bytes, functions, everything. So the line s = b”Holberton” should create an...
더 읽기

내 맘대로 위클리 뉴스 2017년 13주

Python Class-Based Views vs. Function-Based Views 장고의 Class-Based Views와 Function-Based Views의 장/단점을 매우 자세히 소개하고 있는 기사 기사를 작성한 필자는 코드를 읽기 쉽기 때문에 Function-Based View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여러분은? Before reading, keep that in mind: class-based...
더 읽기

Two Scoops of Django

1 장고를 공부하거나 실무에 사용한다면 2~3번 정도 읽어보고, 주변의 개발자들과 담소를 나누면서 생각을 나눠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좋다. 2 내가 사용했던 장고는 장고가 아니라 그냥 파이썬 패키지였고, 이 책 덕분에 장고를 플라스크 정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장고 뉴스레터...
더 읽기

7가지 동시성 모델

1 부산에서 개발을 하면서 거대한 프로그램을 다루는 일이 없어서 뜸했지만, 로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하게 되면서 동시성 모델에 고민이 많았다. RabbitMQ를 사용해서 손쉽게 해결하긴 했지만, 동시성 모델에 대한 약간의 목마름이 있었다. 알라딘에서 책을 고르는 중에 이런 책이 있다는 것을...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