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ognoDB를 다루면서 가장 난감한 문제인 ‘모델링’을 다루는 챕터(부록포함)가 있기 때문에 가장 요긴하게 사용했다.
더 읽기
1
MongoDB를 소개하는 책 중에서 가장 쉽고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Step by Step 형식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MongoDB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에게 추천한다.
더 읽기
0 더 이상 Java로 개발할 일이 없을꺼라고 생각하고 한 4~5년 살았던 듯 싶다. 나에겐 Django가 있어서 두렵지 않았지만, 레거시 시스템이 Spring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어쩔 수 없이 Java를 손에 집어 들었다. 한참 유행하는 Spring Boot를 사용하고 있고, 내가 즐겨사용하던 ORM은 흔적도...
더 읽기
Python Stable django deployments without downtime 다운 타임이 ‘거의’ 없거나 혹은 전혀없는 상태로 장고를 배포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기사 내가 안 쓰는 Fabric과 Gunicorn을 사용하는걸 제외하곤 알찬 기사! 추천! How to deploy a Django app on AWS (with Elastic Beanstalk) Django...
더 읽기
Python Test Driven Development of a Django RESTful API 이 기사는 Django를 기반으로 RESTful API를 신속하게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Django 및 Django REST Framework를 사용하여 CRUD 기반 RESTful API를 개발하는 과정을 소개하는 튜토리얼 기사 Postgres Full-Text Search With Django Django(>=1.10)에서...
더 읽기
Python Centralised logging for Django, Gunicorn and Celery using ELK Stack ELK 스택을 기반으로 Django, Gunicorn, Celery를 사용하여 로그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기사 Step by Step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 macOS를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NIX 사용자는...
더 읽기
Python Understanding Django signals 장고의 특정 이벤트(events)와 연관된 행동(actions)을 지정할 수 있는 시그널에 대해서 가볍게 소개하는 기사 DB의 저장, 삭제, 초기화를 진행하면서 사용하는 예제를 제외하고 조금 색다른 사용 예가 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은 기사! Getting Started with Django Rest...
더 읽기
1 게임과 관려된 내용 중에서 기획, 배포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게임 개발에 호기심이 있는 분들에게 좋은 책인 것 같지만, 유니티를 잘 사용하지 못하는 초보자의 경우 책의 예제를 진행하는게 쉽지 않다. 2 유니티 사용 방법이나 코드를 만들어가는 과정에 허점이 많아서...
더 읽기
그때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서양 문명을 향해 다가오는 가장 큰 위협은 다른 문명이 아니다. 그것은 바로 우리 자신의 무기력함, 그리고 그것을 더욱 부추기는 역사적 무지다. 1 자신의 문명에 대한 자부심이 가득한 저자를 통햇 서양이 왜 우월한가를 들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더 읽기
1
만약 여려분이 함수형 언어 중 하나인 ‘얼랭’을 배우기로 결심했다면 이 책을 구매하면 된다. 이 책은 작은 서버를 만들어가면서 얼랭이란 언어의 멋진 특징을 가볍게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 얼랭 입문자에게 강추한다.
더 읽기
1 다들 리좀에서 시작하는 듯 하지만, 나는 들뢰즈의 ‘천 개의 고원’을 지층으로 시작한 듯 싶다. 이질적인 개념을 미친듯이 쏟아내는 책이지만 가타리 혹은 들뢰즈의 주장에 귀를 기울여보면 나름 얻을 수 있는 뭔가가 있다. 2 나의 삶은 인간을 고객으로 ‘계열화’ 시키고, 고객을...
더 읽기
[…] 그런 상황에서는, 정보구조 설계자나 다른 UX 담당자들이 결정을 내리는 데 더욱 큰 역할을 한다. 당장의 업무를 진행하려면 어떤 식으로든 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달리 방법이 없는 것이다. 1 만약 당신이 기획이나 전략 이런걸 구성해야 하는 직업이라면 이 책은 많은 도움을...
더 읽기
1
‘나도 한번 해볼까?’하는 마음이 들만큼 쉽고 간결한 ‘설득’에 당했다!
더 읽기
1 플레이 프레임워크 때문에 스칼라를 배우는 것은 루비 온 레일즈 때문에 루비를 배우는 것과 비슷한 심정일 것이다. 플레이 프레임워크의 경우 액터 모델을 기반으로 한 멋진 기능 때문에 많은 자바 개발자 분들의 지지를 얻은 듯 하지만 내 경우 스칼라 및 플레이...
더 읽기
1
베르그송모르면 안될 것 같은 책의 구성 때문에 힘겹게 읽은 결과, ‘읽었다’라는 과거형 이미지만 남기게 되었다. 차이와 반복이나 프로스트와 기호들을 먼저 읽었어야 했던건 아닐까 싶다.
2
옛날에 읽었던 시네21의 드립을 떠올릴수 있는 추억은 덤인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