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맘대로 위클리 뉴스 2025년 32주

The Internals of PostgreSQL은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조와 동작 원리를 심도 있게 다루는 온라인 자료입니다. 이 사이트는 PostgreSQL의 핵심 아키텍처, 쿼리 처리 과정, 저장 구조, 트랜잭션 관리, 인덱스, WAL(Write-Ahead Logging) 등 데이터베이스 엔진의 주요 컴포넌트가 어떻게 설계되고 동작하는지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

Python

  • From Async/Await to Virtual Threads
    • 이 기사는 Python의 비동기 프로그래밍 모델인 async/await에서 시작해, 최근 주목받는 가상 스레드(virtual threads) 개념까지의 발전 과정을 설명합니다. 저자는 기존의 코루틴 기반 비동기 처리 방식이 가진 한계와 복잡성을 짚으며, Java 등에서 도입된 가상 스레드가 어떻게 동시성 프로그래밍을 더 단순하고 직관적으로 만들어주는지 비교합니다.
  • Faster Python: Unlocking the Python Global Interpreter Lock
    • 이 기사는 Python의 GIL(Global Interpreter Lock) 해제와 관련된 최근 동향과 기술적 도전 과제를 다룹니다. Python의 GIL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한 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바이트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메커니즘으로, 오랜 시간 동안 병렬 처리 성능의 한계로 지적되어 왔습니다. 최근 Python 개발자 커뮤니티와 주요 구현체(PyPy, nogil 등)에서 GIL을 제거하거나 완화하려는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글에서는 그 배경, 현재까지의 진전,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설명합니다.

JavaScript

  • How I Built a 6-Player Game in 7 Days Using Only My Mobile – My Ripple Effect Story
    • 이 기사는 저자가 7일 만에 6인용 게임을 개발한 경험을 공유하는 이야기입니다. 개발 과정에서의 도전과 시행착오, 그리고 이를 통해 얻은 교훈과 성취감을 중심으로 서술됩니다.
  • The Useless useCallback
    • 이 기사는 React의 useCallback 훅이 실제로는 기대만큼 유용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는 점을 다룹니다. 저자는 useCallback이 컴포넌트의 성능 최적화에 도움이 된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불필요하게 사용될 경우 코드 복잡성만 높이고 실제 성능 개선 효과는 미미하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props로 콜백을 자주 전달하지 않거나, 자식 컴포넌트가 React.memo로 감싸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useCallback의 이점이 거의 없으며, 오히려 의존성 배열 관리 등으로 코드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따라서 언제, 왜 useCallback을 써야 하는지 신중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합니다.

C# and JVM

  • All the .NET Core Opsy Things
    • 이 기사는 .NET Core 환경에서 운영(Ops)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과 도구들을 소개합니다. 저자는 .NET Core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모니터링, 로깅, 환경 변수 관리 등 실무에서 자주 마주치는 운영 작업들을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설명합니다. 또한, 각 기능별로 실용적인 팁과 주의할 점, 그리고 DevOps 관점에서의 활용 방안도 함께 다룹니다.
  • Song recommendations with C# Reactive Extensions
    • 이 기사는 C#의 Reactive Extensions(Rx)을 활용하여 음악 추천 시스템을 구현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저자는 Rx의 스트림 처리와 비동기 데이터 흐름 제어 기능을 이용해, 사용자 입력과 추천 결과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Observable 시퀀스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이벤트 기반 프로그래밍의 장점, 그리고 Rx를 통해 코드의 복잡성을 줄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만드는 실전 팁 등이 소개됩니다.

FP

  • You don’t really need monads
    • 이 글은 “모나드(monad)”가 함수형 프로그래밍(FP)에서 필수적이지 않다는 관점에서, 모나드의 개념과 실제 활용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합니다. 저자는 많은 개발자들이 모나드를 어렵게 느끼거나 FP 입문에 장애물로 여기는 현실을 지적하며, FP의 본질은 모나드가 아니라 함수 조합과 불변성, 순수함수에 있다고 주장합니다.

Etc

Written on August 9, 2025